고양이 링웜 곰팡이 피부병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이름 그대로 둥근 형태(링) 발진이라고 해서 '링웜(ringworm)'이라고 부르는 피부사상균증인 데요. 이번에는 링웜에 관한 설명과 증상, 예방, 치료법에 알아보고자 합니다.
고양이 링웜 이란?
링웜은 다양한 종류의 피부사상균에 의해 발생하는 고양이의 흔한 곰팡이 피부병입니다. 전염성이 있고 재발이 쉬워서 예방과 치료가 중요한 피부병인데요. 한 고양이에서 다른 고양이로, 그리고 사람에게도 쉽게 전염될 수 있는 전염성 질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저희 고양이들도 처음 구조하고 입양했을 때 외부에서 가져온 곰팡이성 세균으로 인해서 링웜을 앓아서 치료해 준 경험이 있는데요. 생각보다 전염성이 강해서 저도 옮고 고양이들도 고생한 기억이 있습니다. ) 먼저 링웜 증상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링웜 증상
1) 원형 탈모, 각질 비듬
고양이 링웜의 징후는 감염의 심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링웜에 감염된 고양이는 얼굴, 귀, 꼬리, 발 등에 동그란 탈모 반점이 생깁니다. 그리고 탈모된 자리 주위에 각질이 일어나거나 비듬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가려움, 발진, 딱지
처음 감염 됐을 때는 가려움증을 느끼지 않으나 피부염이 진행되면 가려움증을 경험하거나 발진이 생길 수 있습니다. 피부를 긁고 상처가 생겨 피가 나기도 그리고 감염된 부위는 비늘이 생기고 딱딱해지거나 붉게 변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 제가 경 혐한 바로는 털 속에 원형모양의 딱지가 앉고 딱지가 통째로 떨어져 나 기기도 했답니다. 딱지가 떨어진 자리에 털도 자라지 않을 수 있답니다.
3) 발, 발톱염증
피부염이 발톱에 생긴 경우 발톱모양에 변형이 올 수도 있습니다. 털을 긁듯이 발톱을 심하게 물어뜯는다면 피부염이 생겼는지 체크해보는 게 좋습니다.
4) 피부염
감염성 피부병이기 때문에 몸 여러 군데로 전염되고 고양이가 간지러워서 긁다 보면 피, 고름이 나고 이로 인해 2차 박테리아 감염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링웜을 초기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 지루성 피부염과 같은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치료 방법
고양이 링웜이 의심된다면 동물병원에 데려가서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해줘야 합니다.
1) 연고 치료제 바르기
고양이 링웜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바르는 약과 먹는 약을 함께 사용합니다. 수의사는 감염된 부위에 바르는 항진균 크림이나 샴푸를 처방합니다. 빠른 균 제거를 위해 균이 있는 부위에 털을 깎을 수도 있답니다.
2) 내복약
향진균제, 항생제 성분의 내복약은 고양이 연령, 몸무게 등을 체크한 후에 처방됩니다. 수의사가 권하는 기간만큼 고양이에게 약을 잘 먹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집사 임의대로 끊었다가 병이 제대로 낫지 않을 수 있으니 지정된 날짜를 지켜주세요.
균성 질환은 전염성이 강하고 나았다가 재발하는 경우가 많으니 약을 다 먹은 후에도 잘 체크하고 관리해서 확실히 낫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약물, 약용 샴푸 목욕
링웜이 온몸에 퍼지거나 가려움을 심하게 느끼는 경우에 약물 약용샴푸로 목욕을 시켜주기도 하는데요. 이것도 상담 후 처방을 받아서 해줘야 합니다. 목욕을 시켜줄 때 감염 방지를 위해 장갑을 끼는 게 좋고 고양이가 쓴 수건은 오염 위험이 있으니 버리거나 꼭 소독해줘야 합니다.
3. 링웜 대처 예방법
1) 털을 자주 빗어주며 수시로 체크해줍니다.
고양이 털 관리는 집사의 필수 덕목이기도 한데요. 죽은 털들을 자주 빗어주며 고양이의 피부 상태로 수시로 체크해 주세요.
2) 청소
털을 그루밍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며 깔끔한 생활을 하는 고양이에게 청결한 환경은 매우 중요합니다. 청소를 해서 깔끔한 환경을 만들어주세요.
3) 소독, 세탁
곰팡이균은 눈에 잘 보이지 않고 균이 공기 중에 잘 흩어지는 포자균이기 때문에 청소만으로는 안전하지 않는데요. 고양이에게 무해한 소독약으로 사람손과 고양이가 닿을만한 모든 곳을 소독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를 만졌다면 바로 손을 씻고 고양이와 많이 접촉하지 않아도 균이 옮을 수 있으니 몸을 청결히 하고 실내복을 세탁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소파 침구류는 세탁 전에 열소독을 해주면 세균관리에 이롭다고 합니다.
4) 온도 습도 관리
곰팡이는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합니다. 특히 장마철은 고양이에게 피부병이 생기기 좋은 시기인데요. 습도를 관리해서 곰팡이균이 생기지 않게 관리해주세요.
5) 감염된 고양이가 있다면 격리해 주기
곰팡이성 피부염에 걸린 고양이가 있다면 반드시 격리생활을 해주세요. 이 피부병은 전염성이 강한 질환여서 사람이나 다른 고양이에게 옮기기 쉬우니 접촉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에는 고양이의 피부병 링웜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고양이에게 치명적인 질환은 아니지만 전염이 강한 병이니 만큼 예방과 치료가 정말 중요한 질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 고양이의 삶의 질은 집사의 관심과 사랑으로 더 높아질 수 있으니 각별한 관심을 갖고 반려묘를 돌보는 게 좋겠습니다.
'고양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울음소리 종류 기분을 표현해요. (0) | 2023.04.29 |
---|---|
고양이 수염 자르면 ? 고양이 수염 특징 (0) | 2023.04.27 |
고양이 털갈이 시기 관리법 대처방안 (0) | 2023.04.20 |
고양이 발톱 깎기 관리해야 하는 이유 (0) | 2023.04.15 |
고양이에게 위험한 꽃과 식물 꼭 치워주세요. (0) | 2023.04.08 |
댓글